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정통 센터는 옛말? 뉴 센터들이 뜬다

농구/NBA

by 멍뭉큐라덕션 2024. 3. 16. 10:20

본문

정통 센터는 옛말? 뉴 센터들이 뜬다

기사입력 2024.03.08. 오전 08:31 최종수정 2024.03.08. 오전 08:31

정통 포인트가드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시대가 있었다. 아니 오랜시간 동안 쭉 그래왔다고 보는게 맞겠다. 포인트가드는 코트의 사령관이었다. 그의 손짓이나 판단 하나로 팀 공격이 좌우됐다. 때문에 넓은 시야와 번뜩이는 패싱센스가 돋보이는 퓨어 포인트가드의 가치는 매우 높았다. 그런선수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강팀과 약팀이 구분될 정도였다.

동료들의 찬스를 먼저 보기보다 자신의 공격력 위주로 경기를 풀어나가는 이른바 듀얼가드는 환영받지못했다. 이기적이다. 팀 플레이를 망친다는 혹평 속에 저평가받기 일쑤였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다. 주전급 퓨어 1번이 워낙 귀하기도했지만 듀얼가드형 야전사령관으로도 좋은 성적이 나며 인식의 변화가 만들어졌다.

프로 스포츠의 기본 명제는 승리다. 정통 포인트가드가 대접받았던 것은 그러한 선수 위주로 경기를 풀어나갔을 때 좋은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듀얼가드의 공격력을 앞세우고도 성적이 나자 구태여 정통 1번을 고집할 필요가 없어졌다. 사이즈가 좋은 공격형 가드를 돌격대장으로 세우고 나머지 선수들이 리딩, 패싱게임을 분담하는 형태로 팀의 색깔을 만들어가는 팀들도 늘어갔다.

이같은 포지션 파괴의 바람은 센터 쪽에도 불어오기 시작했다. 오래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변화는 빠르게 진행됐고 다양한 색깔의 센터들이 속속 등장하고있는 모습이다. 보통 센터하면 느껴지는 이미지는 큰 사이즈에 탄탄한 체구를 바탕으로 골밑을 사수하는 모습이다. 가장 깊숙한 곳을 막는 선수답게 포스트 인근에서 쉴새없이 몸싸움을 하고 리바운드를 잡아낸다.

돌파를 시도하는 선수들에게는 높이를 활용한 블록슛으로 맞선다. ‘야구는 투수놀음이고 농구는 센터 싸움이다’는 말이 괜히 나온 소리가 아니다. 플레이 스타일은 조금씩 다르지만 NBA 역사의 한페이지를 장식했던 레전드급 센터들은 흔히들 생각하는 정통 빅맨에 가까웠다. 팬들 사이에서 '고대괴수'로 불리는 빌 러셀과 윌트 체임벌린은 상대팀 입장에서 포스트의 악몽같은 존재였다.

체임벌린은 지금 시대에 와도 괴물 소리를 들을만큼 사이즈와 운동능력이 탁월했다. 득점, 리바운드, 블록슛 등 전영역에서 말도 안되는 스탯을 연신 뽑아냈다. 러셀은 체임벌린에 비해서 개인능력은 떨어졌지만 누구보다도 건실한 골밑지킴이였으며 팀플레이에 능했다. 때문에 둘은 '우승횟수의 러셀과 개인기록의 체임벌린'으로 회자되고 있다.

모제스 말론은 골밑에서 전투적으로 싸우는 파이터형 센터였으며 역대 센터 랭킹 1위를 차지하고있는 카림 압둘자바의 최고무기는 포스트인근에서 구사하는 스카이 훅슛이었다. 최근 세대에게 클래식 센터하면 가장 먼저 언급되는 것은 역시 1990년대 4대 센터일 것이다. 하킴 올라주원, 데이비드 로빈슨, 패트릭 유잉, 샤킬 오닐은 각자 플레이 스타일은 달랐지만 기본적으로 정통 센터의 역할에 충실한 선수들이었다.

탈빅맨급 스피드를 자랑했던 로빈슨과 다채로운 골밑무브에 3점슛까지 종종 던졌던 올라주원같은 경우 이전까지의 센터들보다 활동반경이나 옵션이 좀더 많았던 관계로 뉴타입으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현대의 센터들과 비교하면 단연 정통파 빅맨이라고 할 수 있었다. 당시 그려졌던 인기 농구만화 슬램덩크 속 캐릭터들인 채치수, 변덕규, 성현준, 신현철 등도 블루워커, 스트레치, 테크니션 등의 차이만 있을 뿐 기본적인 센터상과 크게 차이나지는 않았다.

최근에는 확 달라졌다. 단순히 빠르고 슛이 좋은 것을 넘어 플레이 스타일 자체에서 탈 센터에 가까운 선수들이 대거등장하고 있다. 선두주자는 유럽산 패싱 센터들이다. 유럽파 백인 센터들은 예전부터 기본기가 탄탄하고 슈팅이 안정적인 선수가 많았다. 아무래도 흑인 빅맨에 비해 운동능력에서 떨어질 수 밖에 없는지라 다른 쪽에서의 경쟁 무기가 필요했던 부분이 크다.

현 시대 최고를 넘어 역대급 센터의 반열을 향해 나아가고있는 니콜라 요키치(28‧211cm)는 그런 스타일의 끝판왕이다. 기존 유럽 빅맨들의 장점을 최고치까지 장착하고있는데 특히 넓은시야와 패싱테크닉은 역대 NBA 센터를 통틀어 압도적 1위로 평가받고 있다. ‘센터의 수준이 아닌 정상급 퓨어포인트가드 급이다’는 극찬이 과장으로 들리지 않을 정도다. 주전 센터이자 야전사령관같은 존재다.

요키치가 워낙 이 분야에서 독보적이라서 그렇지 도만타스 사보니스(28‧211cm) 역시 비슷한 스타일로 리그내 상위클래스 센터로 자리잡았으며 알파렌 센군(22‧211cm) 또한 컨트롤 타워로서의 재능을 인정받으며 제2의 요키치로 성장중이다. ‘센터가 패스로 경기를 지배한다’는 개념은 2000년대 초반까지만해도 상상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조엘 엠비드(30‧213cm)같은 경우 ‘제2의 하킴 올라주원’으로 불린다. 아프리카 출신, 비슷한 체형에 더해 빠르고 다채로운 기술구사가 닮아있기 때문이다. 올라주원같은 경우 현역시절 ‘센터의 탈을 쓴 스몰포워드다’는 말까지 들었다. 그만큼 당시에는 다소 특별한 센터였다. 하지만 현재의 엠비드는 그보다 훨씬 더하다. 돌파와 외곽슛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흡사 스윙맨처럼 플레이한다.

올시즌 신인왕을 놓고 경쟁중인 차세대 빅맨 빅터 웸반야마(19‧223cm)와 쳇 홈그렌(21‧213cm)같은 경우 신인류로 불린다. 큰키, 깡마른 체구, 내외곽을 오가는 플레이 스타일 등 빅맨인 듯 빅맨 아닌 색깔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신장은 크지만 마른 체형의 장신 센터는 예전부터 종종 있어왔지만 성공한 케이스는 많지 않다.

마른 빅맨의 약점인 몸싸움에서의 약점을상대팀에서 집요하게 파고들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테크닉이 아주 다양하거나 운동능력이 탁월한 것도 아니었던지라 높이에서의 우세를 온전히 살리지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웸반야마와 홈그렌은 다르다. 신장대비 드리블도 수준급이며 내외곽을 오가며 무빙슛을 던져댄다.

페이스업, 포스트업 모두 가능하다. 외곽슛도 안정되어있는지라 상대팀에서 수비하기 매우 까다롭다. 높이를 앞세운 블록슛은 아주 위력적이다. 예전의 마른 장신 센터들과 비교해 모든면에서 업그레이드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다. 체형상 몸싸움에 강하지는 않지만 다채로운 능력치로 커버해버린다. 그야말로 뉴센터 시대라는 말이 딱 맞는 최근의 빅맨 트랜드다.

#글_김종수 칼럼니스트​​​

​#그림_김종수 칼럼니스트​​​

#이미지참조_연합뉴스

기사제공 점프볼

김종수 oetet@naver.com

Copyright ⓒ 점프볼.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글 더보기